![]() |
집장구
-손택수
일년에 한 번은 집이 장구소리를 냈다 뜯어낸 문에 풀비로 쓱싹쓱싹 새 창호지를 바른 날이었다 한 입 가득 머금은 물을 푸- 푸 - 골고루 뿌려준 뒤 그늘에서 말리면 빳빳하게 당겨지던 창호문 너덜너덜 해어진 안팎의 경계가 탱탱해져서, 수저 부딪는 소리도 새 소리 닭울음소리도 한결 울림이 좋았다
대나무 그림자가 장구채처럼 문에 어리던 날이었다 그런 날이면 코 고는 소리에도 정든 가락이 실려 있었다
-손택수 시집『목련 전차』(창비,2006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시 제목이 ‘집장구’다. 우리 노래에 장단을 맞추는 장구는 알겠는데, 도대체 ‘집장구’는 무엇인가? 그 표현이 재미있다. 시골집 문짝을 떼어내어 새 창호지를 바른 것이 장구처럼 당당당 소리를 내는 것을 나도 어린 시절 여러 번 경험한 바다. 손택수 시인의 진술처럼 “뜯어낸 문에/풀비로 쓱싹쓱싹/새 창호지를 바”르고 “한 입 가득 머금은 물을/푸- 푸 - 골고루 뿌려준 뒤/그늘에서 말리면/빳빳하게 당겨지던 창호문”은 영판 장구다. 뜯어낸 이 문짝을 손가락이나 대나무 잔가지로 두드리면 정말 당, 당, 당 장구소리가 마구 솟아났다. 이런 장구를 집의 아가리인 문에 매달아 놓았으면 집이 장구일 수밖에. 창호지 새로 바른 문을 걸어놓은 집을 장구로 본 작은 시적 발상의 전환이 멋진 시「집장구」를 만들게 했다. 손택수 시인의 둘째 시집『목련 전차』에 수록된 「방심」「추석달」「살가죽구두」「목련전차」같은 명편(名篇)들이 그러하듯 이 시도 시인의 구체적 삶의 체험이 시적 형상화의 바탕 무늬를 이루고 있다. 그러니 그가 부르는 노래들은 하나같이 공허하지 않고 우리네 삶의 진정성에 가 닿아 있다. 탱탱하고 한결 울림 좋은 저 집장구처럼 손택수의 시가 우리 한국 시단에 노래의 새 길을 여는 장구가 되기를 바란다. 다음에 나올 그의 셋째 시집은 손택수 장구의 어떤 음색(音色)일지 자못 궁금하다. -이종암(시인) |
번호 | 제목 | 닉네임 | 조회 | 등록일 |
---|---|---|---|---|
157 | 소나기 내린다/이대흠 | 김재순 |
3320 | 2011-06-28 |
156 |
당혹 / 박찬
![]() |
이종암 |
3189 | 2011-06-22 |
155 | 빈센트 / 황동규 | 이종암 |
3635 | 2011-06-21 |
154 |
배꼽 시계 / 안도현
![]() ![]() |
이종암 |
3694 | 2011-06-20 |
153 |
백석에 관한 추억 / 서정춘
![]() |
이종암 |
4184 | 2011-06-17 |
152 | 여뀌꽃과 흰 해오라기/李奎報 | 임술랑 |
4208 | 2011-06-14 |
151 | 구룡포 사랑/송기원 | 김재순 |
3422 | 2011-06-13 |
150 |
향 / 황동규
![]() ![]() |
이종암 |
3188 | 2011-06-08 |
149 | 일기예보/이덕규 | 임술랑 |
3319 | 2011-06-08 |
148 |
유령 / 박정대
![]() |
이종암 |
3473 | 2011-06-03 |
![]() |
집장구 / 손택수
![]() ![]() |
이종암 |
3715 | 2011-05-30 |
146 |
기차는 간다 / 허수경
![]() |
이종암 |
5185 | 2011-05-27 |
145 |
애월 / 엄원태
![]() |
이종암 |
3639 | 2011-05-24 |
144 | 쟁반탑/복효근 | 김재순 |
3405 | 2011-05-24 |
143 |
새로 생긴 저녁 / 장석남
![]() ![]() |
이종암 |
3725 | 2011-05-21 |
142 | 코뿔소/문창갑 | 임술랑 |
6163 | 2011-05-17 |
141 |
오월 / 김영랑
![]() ![]() |
이종암 |
3741 | 2011-05-16 |
140 |
부처님 오신 날 / 서정주
![]() |
이종암 |
2769 | 2011-05-11 |
139 | 낙화유수/함성호 | 김재순 |
3447 | 2011-05-03 |
138 |
젖 / 상희구
![]() |
이종암 |
3608 | 2011-04-20 |